1.세계보건기구 WHO가 밝힌 건강의 개념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모든 인간발달의 측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상태.
2. 정신적 건강
1)정서적, 심리적으로 편안한 상태
2)근로능력, 존경,사랑하는 마음
3)자존감이 높다.
3. 보육관경의 정신건강 위해요인
1)보육교사의 전신건강을 양호하게 하는 요인
2)자아존중감
3)보육서비스 태도
4)원장지지 및 동료지지가 높을수록 정신건강 양호
5)직무소진과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정신건강은 악화
4. 스트레스 대처방안 (정서중심 대처방안)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문제를 직접 다루기 보다는 스트에스에 의해 유발된 방응이나 초조 등의 정서적 고통을 감소시키는 노력. 즉, 스트레스 원인을 회피하거나 스트레스 상황을 인지적으로 재구성하는 대처방식
5. 보육교사가 직무 심리적 소진 경험하는 원인
1)영유아들을 대상으로 장시간 보육에 집중
2)좁은 공간에서 오랜 시간 근무
3)원장과의 권위적 소통관계
4)학부모와의 소통 어려움
5)충분한 휴식시간이 주어지지 않음
6. 보육교사의 정신건강이 영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1)과도하게 예민한 교사, 잔소리가 많은 교사, 정서적인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는 교사
→아이들을 불안, 무질서, 침착하지 못하며, 산만한 성격적 특성
2)너그럽지 못하고, 충분한 사랑을 주지 않으며, 일관되지 못하고 자신이 불안한 교사
→아이들을 방황하게 함.
7. 보육교사의 심리, 정서적 요인 중 관계의 어려움
1)영유아의 관계
2)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3)학부모와의 관계
4)보육시설의 환경적 요인
'일거리 탐구(보육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육철학과 아동인권 (0) | 2024.05.30 |
---|---|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활용 (0) | 2024.05.29 |
보육장학 실행과 평가2 (0) | 2024.05.29 |
보육장학 실행과 평가 1 (0) | 2024.05.29 |
특별한 보육욕구 대상지원과 사례탐색 1 (1) | 2024.05.28 |